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연금보험(변액연금) 해지 이유

반응형

저는 20대 후반에 보험사의 연금보험(변액연금)을 가입했습니다.

지인의 소개와 금융, 재테크에 무지했던 저는 정확히 알아보지 않고 가입을 했었습니다.

그때는 나중에 세월이 지나면 수익금이 생겨 원금보다 많은 목돈이 된다는 말만 믿고 모니터링을 하지 않았습니다.

(사실 크게 관심도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2020년 코로나 펜데믹이 터졌고, 주식시장 급락이 있었지만 이내 회복하면서 평소 주식, 재테크에 관심 없던 사람들까지 주식, 재테크에 관심 없던 사람들까지 주식, 재테크에 관심이 생기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저 또한 돈에 대한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적금/예금만 하던 저의 보수적인 재테크 성향으로 주식시장에 쉽사리 뛰어들지 못했고, 마침 보유하고 있는 변액연금이 주식형과 채권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주식시장을 간접 경험해 보기로 합니다.

어떻게 하면 잘 운용할 수 있을까? 해서 담당설계사에게 자문을 구했지만 운용 방향성에 대한 전문가적인 답변을 듣지 못해서 스스로 운용해 보기로 합니다.

 

1) 보험료 납입 중지  2) 매일 적립금의 변동(증감) 모니터링  3) 펀드변경으로 주식형과 채권형 비중 조절하기 등을 하면 10개월 동안 노력해 봤지만 역시나 비전문가인 저는 한계를 느끼고 연금보험(변액염금)을 해지하고, 증권사 연금저축계좌를 만들었습니다.

 

■ (참고사항) 기존 보유했던 연금보험 상품

  • 상품명 : OO생명 OOO변액연금
  • 해지일 : '21년 07월
  • 운용기간 : 7년 5개월
  • 손해 : 4,185,241원
  • 해지 적립율 : 80.3% (해지 적립율 100%일 경우 원금보존임)
  • 기타 : '20년 10월부터 납입중지 후 펀드변경 등을 통해 관리 시도 했으나 실패

7년 5개월이라는 시간을 투자했는데 저는 해지시 19.7%의 손해를 봤습니다. 원금에 대한 손실만 19.7%이고 정말 제일 안전한 은행에 적금에 넣었어도 조금의 이자는 받았을 테니 실제 손해는 더 크겠죠.
제가 10개월간 관리 및 모니터링을 한 뒤 손해를 보면서 해지 한 이유는 이렇습니다.


▶ 연금보험 해지 이유~!!

 

 첫째, 보험상품으로 사업비와 펀드 수수료가 비싸다.

 둘째, 펀드가 어디에 투자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어 시장상황에 대응하기 어렵다.

 셋째, FB(설계사)관리가 아쉽다. (저의 경우 아쉬웠지만 FB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넷째, 매월 고정금액 납입으로 부담감을 느꼈다. (납입중지기능이 있지만 횟수와 기간이 제한적임)

 

  ※ 보험사 연금보험이 무조건 안 좋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목적과 개인상황에 따라 연금보험을 선택하는 것도 유리하고 좋을 수도 있습니다.

 

▶ 증권사 연금저축 선택 이유~!!


 첫째, ETF*를 통한 분산투자가 가능하다.

 둘째, 보험상품에 비해 수수료가 훨씬 저렴하다.

 셋째, 매년 13.2% or 16.5% 세액공제로 이익확정되므로 심리적으로 안정적이다.

 넷째, 매월 고정금액이 아닌 자유납입으로 상황에 맞게 투자가 가능하다.

 

◇ ETF (Exchange Traded Fund)

  -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 펀드 + 주식
    • 펀드 장점 :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하지 않아도 됨
    • 주식 장점 : 언제든지 사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음
  - 10개 이상 종목으로 구성되는 것이 규칙이다. (분산투자 가능)
  - 정기 리밸런싱으로 주식에 비해 신경을 덜 써도 되고, 편입/편출 종목 확인이 용이하다.

 

출처 : 연합뉴스, https://v.daum.net/v/20170306120110457
출처 : 연합뉴스, https://v.daum.net/v/201703061201110457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등을 1주씩 매수하는 것이 아니고 ETF 1주에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등이 비율로 조금씩 담아져 있어 ETF 1주 구매로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ETF 종목에 따라 구성종목, 테마가 달라집니다.

 

연금저축은 연금보험에 비해 수수료가 적고, 내가 어디에 투자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으면서 노후준비도 할 수 있다는 점이 저 같은 재테크 초보자에게는 큰 메리트로 다가왔습니다. 또한, 고정금액이 아닌 자유 납입이므로 나의 상황에 맞춰서 운용하면 된다는 점도 투자의 부담감을 낮춰 줬습니다.

다음시간에 또 다른 이야기로 찾아오겠습니다.

반응형